앞서, GMO 옥수수의 부작용에 대한 연구 결과, 그리고 옥수수가 어떻게 우리 실생활에서 활용되고 있는가를 알아봤는데요. 그렇다면, 실생활에서 활용하고 있는 옥수수가 얼마나 우리 몸에 악영향을 끼치는가를 생각해 보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이미, 방송에서도 여러 번 다루어서 GMO 옥수수에 대한 해악을 지적한 바 있는데요. 과연, 해악이 온전히 해악으로 영향을 끼칠것인가는 한 번 생각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옥수수의 활용 방법에 여러가지를 열거했는데 그 중에 흔히, 쓰이는 방식 중에 하나가 바로 액상과당을 제조하는 것입니다. 액상과당은 설탕의 연장선상에서 볼 수 있는데요. 사실, 포도당의 계열사 쯤으로 치부할 수 있는 과당, 올리고당 등은 어차피 뿌리를 같이하기 때문에 과량 섭취하면 몸에 안 좋은 것은 주지의 사실입니다. 어떤 음식이든지간에 과하면 몸에 안 좋은 법입니다. 특히, 설탕이 몸에 좋지 않은 이유는 다른게 아니라 분해의 과정을 통해서 힘을 써야 할 여지가 없어져서이기 때문입니다. 설탕의 구조식을 보겠습니다.

설탕의 구조식을 보면 포도당(glucose)와 과당(fructose)가 각각 하나씩 연결되어 있는 구조입니다. 설탕의 당도를 100이라고 하면 포도당은 74정도 과당은 170정도를 차지하는데요. 사실, 이 당도라는 것도 굉장히 상대적인 척도입니다. 당도를 나타내는 척도도 기준을 설탕으로 정해놓고 상대적으로 포도당은 대충 이 정도로 다니까 74, 과당은 이 정도로 다니까 170 이런 식으로 정해진 거거든요. 과학이라는 것도 자세히 파 보면 허술한 면이 한 두군데가 아닙니다. 어쨌든, 과당은 설탕에 비해서 훨씬 달게 느껴진다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그래서, 액상과당은 널리 쓰이기는 하지만, 실제 소화과정에 있어서는 큰 보탬이 안 됩니다. 기본적으로, 인간은 탄수화물을 에너지원으로 활용하기 때문에 꼭 필요한 성분입니다. 하지만,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만약을 대비해서 지방으로 축적을 하게 되는데요. 포도당의 경우에는 에너지로 활용하고 남은 부분을 지방으로 축적하는 반면, 과당은 거의 모두 99% 지방으로 축적을 합니다. 그러면, 여지없이 지방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드라마틱하게 높아지는 것입니다. 그래서, 옥수수의 부작용으로 액상과당을 많이 섭취하면 몸에 좋지 않을 것이다라는 흐름으로 해석을 하는데요. 실제, 과당의 구조는 위에서 보듯이 포도당의 구조에서 약간의 변화를 구조입니다. 단 맛의 깊이가 다르기 때문에 선호도가 갈리는 것이지 구조 자체만으로 보면 인체에 해를 끼칠 여지가 거의 없습니다.
 옥수수의 부작용에 대해서 지적하고 있는 곳에서 GMO 옥수수로 만든 액상과당이 몸에 해롭다는 말은 액상과당 자체가 몸에 해롭다는 말로 바껴야 하는 것이죠. GMO는 말 그대로 유전자를 건드려서 옥수수를 키우기 좋은 상태로 개조한 것입니다. 그래서, 옥수수를 째로 먹지 않는 이상 변이가 된 유전자가 영향을 어떻게 미치는가에 대한 평가를 하는 것은 그야말로 난센스입니다. 과당의 분자식 구조는 옥수수가 유전적인 변이를 거쳤다고 해도 영향을 받지 않는 온전한 과당의 분자 형태를 띨 거구요. 액상과당 자체가 인체에 해악을 끼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 해악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으로 해석해야 정상적일 것입니다.
 쥐 실험을 통해서 상태가 좋지 않아졌다 부분은 그래서 부분적으로 해석을 해야 할 부분입니다. 과거, 돼지를 통해 인슐린을 생산해서 당뇨병에 대처했던 것을 생각하면 같은 구조식을 가진 성분을 의학적으로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선입견을 가지는 것은 어불성설이 될 것입니다. 설탕, 포도당, 과당 등에는 유전자가 끼어 들 여지가 전혀 없기 때문입니다. 유전자를 구성하는 요소는 아데닌, 구아닌, 시토신, 티민 등의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위에서 언급한 설탕 성분과는 전혀 상관이 없는 부분이거든요. 그래서, 언론에서 지적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어느 정도는 걸러 들을 필요가 있다는 생각입니다.
 그것이 GMO 유래이든 원래 있던 옥수수 유래이든 상관없이 액상과당은 어쨌든지간에 몸에 해롭다는 해석이 맞지 않나 하는 생각입니다. 생물공학을 전공한 이력을 경험삼아 어줍잖은 해석을 해 봤습니다. 성분상으로는 변형된 DNA가 영향을 끼칠 여지가 전혀 없다는게 핵심 내용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옥수수를 째로 먹은 쥐실험은 충분히 우려할 만한 부분이 있습니다.

part1은 바로가기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5) 위스키

 옥수수를 증류해서 위스키를 만들 수 있습니다. 미국에서 금주법을 시행하는 바람에 정식으로 유통되는 버번과 불법으로 밤에만 유통되는 문라이트 혹은 문샤인으로 나눠졌다고 하네요. 어쨌든, 이 술에도 옥수수가 쓰입니다. 

 (6) 에탄올

 곡물을 증류해서 얻은 알코올을 에탄올이라고 합니다. 이걸 사용해서 바이오연료로 사용해서 차를 굴릴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바이오연료를 생산하기 위해서 에탄올을 만들 때 드는 에너지가 에탄올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보다 더 크다고 합니다. 쉽게 말해서, 배보다 배꼽이 더 커서 대중화되기는 거른 거 같습니다. 미국 셰일가스는 온갖 루머를 이겨내고 이제 오일산업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올라왔는데요. 여기는 아니네요.

 (7) 옥수수수염

 옥수수수염차는 우리나라에서 널리 알려진 차 종류 중에 하나입니다. 요로감염증을 치료하는데도 좋다고 하는데요. 이뇨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야뇨증, 당뇨병 심지어 암에까지 효과가 좋다고 널리 알려져 있으나 의학계에서는 아직까지 충분한 증거가 없어 판단 유보중이라고 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에게는 무해한데요. 일부, 건강에 문제가 있거나 약물을 복용 중인 사람들은 삼가야 합니다.

 (8) 옥수수 속대

 일반적으로는 다 버리는 부위인데요. 그 나름의 쓸모가 있습니다. 옥수수 속대를 갈아서 가축의 먹이로 주기도 하구요. 축사 바닥에 동물 침소용으로 화장실 휴지 대용, 쓰레기매립지에 연료로 혹은 옥수수 속대 젤리를 만드는데 썼다고 하는데요. 요즘에 와서는 기름이나 유해한 폐기물 등의 흡수제, 살충제, 비료 등으로 쓰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심지어 담뱃로도 활용을 했나 봅니다. 

 (9) 옥수수기름

 옥수수기름은 옥수수 싹을 짜서 만듭니다. 여러 음식의 재료로 들어가기도 하고 음식을 튀길 때 많이 사용하죠. 마가린을 제조할 때도 옥수수기름을 쓰기도 합니다. 화장품, 비누, 의약품 등 많은 제품에서 활용하고 있습니다.일반적으로 흔히 쓰이는 형태는 식용유입니다. 또, 짜서 만드는 방법에 따라서 구분을 달리 하기도 합니다. 

 (10) 풀

 옥수수 싹은 옥수수에서 필요한 기능들을 다 떼고 남은 부산물인데요. 기름을 다 짜내고 남은 찌꺼기입니다. 보통은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는데요. 이 옥수수 싹에서 추출할 수 있는 성분이 풀의 성능을 더 좋게 하는데 쓸 수 있습니다. 이 성분을 쓰면 접착제를 만드는 화학공정에 필요한 레진을 덜 쓸 수 있기 때문에 접착제 생산에 필요한 단가가 떨어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옥수수를 사용하고 있는 활용처가 어마어마하게 다양하고 은연중에 우리 입으로 들어가고 있는 양이 상당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GMO 옥수수를 향한 불안감이 왜 생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입니다. 산업용으로 사용하는 일부를 제외하고는 다 우리 입으로 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그런 염려가 생기는 것이겠죠. 실제, 유전자조작을 한 식품이 인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장기간에 걸친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 단정적인 결과를 보여주는 곳을 찾을 수가 없어 아쉬운데요. 틈나는대로 확인해 보고 소식이 있으면 또 포스팅하겠습니다.

 앞서,GMO 옥수수에 대해 알아 보다 보니(앞 포스팅은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옥수수가 어떻게 사용이 되고 있는지부터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또 알아 봤습니다. 옥수수가 생각보다 많은 곳에서 활용이 되고 있는데요. 차근차근 한 번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옥수수 가루

 옥수수를 갈아 만든 가루입니다. 갈린 정도에 따라 사용처가 조금씩 다른데요. 가장 거칠게 갈은 것은 grits(굵게 빻은 옥수수)라고 하는데요. 콘프레이크 만들 때 쓰는게 이겁니다. 이것보다 조금 더 부드럽게 간 등급이 옥수수빵이나 튀김가루에 쓰이구요. 이것보다 조금 더 부드럽게 간 것이 corn cones(한국말로 뭐라 하는지 모르겠네요.)인데 제빵에 쓰거나 피자 도우 만들때 밑에 까는 가루로 씁니다. 마지막으로, 가장 부드럽게 간 옥수수를 흔히 옥수수 가루라고 쓰는건데요. 펜케이크, 도넛, 제빵, 유아용 식품 등에 씁니다. 옥수수 가루를 다른 형태로 만들어 쓰는게 있는데 이걸 옥수수 마사 가루(masa flour)라고 하는데요. 알칼리성인 소석회(수산화칼슘)에 담궜다가 말려 빻은 가루입니다. 소석회는 옥수수의 니아신을 신체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 주는 역할을 하는데요. 원래, 옥수수에 들어 있는 니아신은 사람이 활용할 수 있는 형태가 거의 없어서 옥수수만 주식으로 했던 남미 사람들이 예전에는 니아신 즉, 비타민B3 결핍으로 인해서 펠라그라(Pellagra)라는 질병에 많이 걸렸다고 합니다. 설사, 피부염, 치매증상에 이어 사망에까지 이를 수 있는 무서운 병이라고 하네요. 이렇게 소석회로 처리한 걸로 만든 음식이 호미니(homini)라는 옥수수죽입니다. 이걸 다시 갈아서 건조한 후에 가루로 만들면 마사 가루가 되는데 이걸 사용해서 유명한 남미 음식인 토르티야와 타말리 등을 만듭니다.

(2) 페니실린

 점점 내용이 어려워지는 것 같은데요. 실험실에서 세균을 키울 때 세균이 자라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는데 여성의 화장품 중에 파우더처럼 생긴 판을 만듭니다. 이 판을 식품이나 생물학쪽 용어로 배지라고 하는데요. 옥수수 침지공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옥수수 침지액이 나오는데 여기에 각종 산, 효모, 글루텐, 무기물 등이 많이 함유가 되어 있어서 1940년대에는 다 버리던 것을 과학자들이 완벽한 배지라고 극찬하면서 사용을 시작해서 이제 균을 배양하는 배지로 씁니다. 페니실린같은 항생제도 이 위에서 만들어 집니다. 침지공정은 두부 만드는 과정을 떠올리면 이해가 쉬울 것 같습니다. 공정에 따라서 차이가 있지만 고체 형태로 생산하는 경우도 있고 맥주같은 경우는 액상으로 효모를 섞어서 생산을 하지요. 맥주는 효모가 싼 똥인 알코올이 5% 정도 섞인 술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미생물의 성장을 대수증식기라고 해서 시간별로 나눠서 급격히 증가하는 구간을 대수증식기, 늘어나는 인구와 줄어드는 인구가 비슷한 시기를 정체기, 죽어가는 인구가 늘어나는 시기를 사멸기 등으로 구분합니다. 자기가 싼 똥이 어느 정도 비율 이상이 되어 버리면 해당 효모도 살 수 있는 환경이 되지 않기 때문에 죽어 버리거든요. 여기에 알코올 도수의 비밀이 숨어 있다고 하지요. 하여튼, 그런 균을 키우는 베이스로 쓴다고 합니다.

 (3) 전분

 옥수수 전분은 옥수수의 배젖으로 만드는데요. 옥수수의 메인 씨앗 정도로 보면 되는데 이걸 깍지도 벗기고 싹도 제거하고 해서 갈고 글루텐도 제거하고 완전히 전분 그 자체만 남기면 그야말로 탄수화물밖에 남지 않는데요. 이게 바로 그 전분이 되는 것입니다. 옥수수 전분은 음식에 근기가 생기게 만들어주는데 대표적인게 탕수육 소스에 사용되는 경우라고 하겠습니다. 제과용 설탕을 제조하기 위해 설탕과 함께 쓰이기도 하구요. 예전에는 옷을 빳빳하게 다리는데 쓰기도 했습니다. 또,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제조하는데 주요성분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4) 설탕

 옥수수 시럽은 옥수수 전분으로 만듭니다. 전분 자체가 탄수화물 덩어리라 적당한 방식으로 자르고 붙여서 연결하면 설탕이 되는 것이죠. 전분에 효소를 사용해서 끊어내면 당이 되는데요. 주로 글루코스 즉, 포도당이 나옵니다. 공정을 조금 더 거쳐서 포도당에 효소를 이용해서 가공을 하면 과당이 되는데요. 이게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액상과당이 되는 것입니다. 포도당보다 액상과당이 훨씬 달고 맛있기 때문에 당연히 액상과당을 선호하게 된 것이구요. 흔히, 볼 수 있는 음료수에 들어 가는 액상과당이 이렇게 만들어진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액상과당이 영어로 하면 과당이 많이 들어간 옥수수 시럽인데요. 미국에서는 이름에 부정적인 인식이 깃들었다고 옥수수당으로 바꿔 달라는 요구가 있다고 하네요.

 정리하다 보니까 글이 또 길어져서 한 컷 끊었다가 이어 가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부쩍이나 건강에 관심이 많은 부인께서 GMO 즉, 유전자재조합식품중에서도 옥수수에 대해서 우려섞인 목소리를 내기에 과연 정말, 그러한가라는 의문이 들어서 국내외 자료를 한 번 살펴 봤습니다.

 유전자를 조작한다는 것은 해당 산물에 대한 어떤 필요성 때문에 시작되는 것인데요. 농산물의 경우에는 대표적으로 병충해에 강한 작물로 유전자를 바꾸고 싶다는게 한 이유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결과적으로는 높은 수익성을 보장하는 행위이기 때문에 만들고자 하는 수요가 생기는 것이구요. 선한 목적으로 바라보면 아프리카와 같은 열악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는 작물을 만들어 낼 수 있다면 이보다 사회적으로 훌륭한 일이 없을 것입니다.

 2006년에 미국에서 생산하는 GMO식품은 세계에서 생산하는 제품 중에 53%를 차지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 유전자재조합식품이 몇 가지 잠재적인 부작용이 있다고 합니다.

 (1) 해악에 대해서 아직 모르는 것이 너무 많습니다.

 눈수술 때문에 라식, 라섹을 많이 하시는데요. 정작, 안과의사들은 그 해악이 어떤 결과로 나타날지 모르기 때문에 본인들은 안 한다는 얘기도 있습니다. 새롭게 개발된 기술을 인간에게 적용했을 때 10년, 20년에 걸쳐서 어떤 결과가 나타날지 아직 구체적으로 파악된 바가 없기 때문에 이 미지에 대한 불안감 때문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있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핸드폰을 사용하다가도 화면이 뜨거워서 이렇게 뜨거운 화면을 몇십년간 계속 두드리고 있으면 손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스치듯 한 적이 있는데요. 이런 불안감의 연장선에 있는 것이겠죠. 실제, 유전자재조합식품 중에 어떤 경우는 특정 항생제에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조작을 한 게 있는데요. 이 작물을 다른 동물, 곤충 등이 먹었을 때 2차, 3차로 영향을 어떻게 미칠지, 종국에 사람이 이 작물을 섭취했을 때 항생제 저항성이 어떤 결과로 드러날지에 대해서 정확히 알 수가 없다는 것입니다. 항생제 저항성을 그대로 이어 받는 현상이 생기면 그 특정 감염원에 대해 취약해지는 몸을 가지게 될 겁니다. 인간 세포의 에너지 생산을 담당하는 미토콘드리아가 외래생물이었다는 점도 그 불안감에 대해 한 몫 하는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2) 교차오염(Cross Contamination)

 완전하게 격리된 환경에서 작물을 키우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차오염에 대해 노출되어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A농장에서 GMO 작물을 키우고 있는데 그렇지 않은 B농장에 꽃가루가 흘러 들어가서 해당 작물을 다 오염시켜 버리면 생존능력이 뛰어난 작물이 살아 남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언젠가는 유전자재조합이 된 작물만이 Last man standing이 될 수도 있을 겁니다. 모르는 사이에 조작하지 않은 작물이 사라지는 결과가 초래될 수도 있을 겁니다.

 (3)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 증가

 해충들마저 살충제 내성을 가진 식물들을 먹다가 살충제 저항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1차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던 해충을 2차, 3차적인 방법으로 더 어렵게 대응해야 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정 살충제에 대해 저항성을 지닌 유전자재조합 옥수수인 Mon863을 이용한 쥐 실험에서 나온 결과를 보면 다소 충격적입니다. 이 옥수수를 먹인 쥐에게서 이상 알레르기, 다양한 질병 그리고 암, 빈혈 등이 발생했다고 합니다. 실험 결과에 대해서 의문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대조군을 만들어서 실험을 진행했구요. 대조군에게는 조작을 하지 않은 일반적인 옥수수를 먹였습니다.

 이 부작용에 대해서는 아직 논쟁 중인것 같구요. 조금 더 알아보고 최근 소식이 추가된게 있으면 또 포스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